2024. 9. 5. 10:06ㆍ국비 학교 대한체육전문학교
국비 지원 학원설립 상담을 하면서
제일 많이 듣게 되는 말이
어떻게 하면 바로 국비학원이 될 수 있나?
라는 질문입니다.
국비 지원학원 설립의 절차를 설명하라면
얼마든지 설명하겠는데,
‘바로’라는 단어가 마음을 누르네요.
우리 조합이
국비 지원 학원설립 세미나를 개설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고요.
사실 바로 설립이 가능하기는 합니다.
이론적이긴 하지만
교육실적이 풍부하다는 전제에서
바로 설립이 되면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일반적인 설립 절차를 설명하면서 알아볼까 합니다.
우선 일반적인 국비학원 설립 절차는
직업훈련의 3요소인 시설(장비), 인력, 커리큘럼을
준비해서 1년에 한번 있는 통합심사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인증등급을 받아 통과하면 끝나는 절차입니다.
간단하죠? ->통합심사<-
이 일반적인 절차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고용노동부 위탁 직업훈련(국민 내일배움카드 포함)
평가 기준 중 가장 큰 부분이 '취업률'이라는 겁니다.
그렇다면 위에 기술한 일반적인 절차로 취업률을 올릴 수 있을까요?
상식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게다가 훈련생들 또한 취업률이 높은 과정을 신청하려는
경향이 강해서 국비 학원별로 공시된 취업률이 과정을 신청하는
제일 중요한 척도입니다.
그렇다면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이 있어야 할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취업시킬 기업을 국비 학원이 보유하고 있으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그러나 많은 인력을 취업시킬 대규모 기업을 단시간에 만들 순 없겠지요?
이럴 땐 과거의 사례에서 정답을 찾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2010년대 초중반으로 기억되는데
인구 절벽으로 대학입시를 보는 학생은 줄어드는데
대학 학생 정원은 그대로라
사학개혁을 부르짖으며 대학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학생 정원을 감축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 대학 평가에서 제일 중요한 항목이
'취업률'이었고,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모든 대학에서 열성을 다해 추진한 것이
산학협력단입니다.
이전부터 산학협력이라는 용어는 있었지만
졸업생이 창업한 기업과 연대하는 개념 정도였다면
이때부터는 졸업 예정자 취업을 약정하고
기업 맞춤형 졸업생을 만드는 계약학과라는 개념이
나왔으며 산학 전담 교수하고 해서 법적으로 강의를 안 할 순 없으니
일주일에 1과목만 강의를 하고 나머지는 기업을 찾아다니며
산학협력 맺기를 전담으로 하는 교수 직군도 생겼습니다.
뭐 우리 같은 산업계 전문가들에게는 또 하나의 기회가 생겨서
나쁠 것 없었지만요.
그러다 보니 하다 하다 일학습병행이라고 해서 20%는 학교에 다니고
80%는 기업에서 일하는 외국의 사례를 차용한 방법도 나왔는데요.
우리가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지혜는
예전에 대학에서 치열하게 했던 고민의 결과를
답습 하자입니다.
우리가 기업을 직접 운영하면 좋겠지만
불가능하다면 운영과정 관련기업들과
전략적인 제휴를 맺고 그 기업들에게
기술전수, 인력제공 등의 혜택을 주면서
우호적인 관계로 산학협력을 맺는 것입니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도 준비는 필요하겠지만요.
'준비'라는 단어를 많이 쓰게 되는데요.
느끼는 감정은 시간 걸리고 답답하고 이런 느낌인데
준비를 하면서도 보상을 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요?
아래 현명한 국비 지원학원 설립도 함께 읽어주세요.
'국비 학교 대한체육전문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비 지원 학원 설립 : 첫걸음부터 성공적인 운영까지 (1) | 2024.09.11 |
---|---|
국비 지원 학원 설립하기 위한 대관 업무 하는 방법! (8) | 2024.09.07 |
국비 아카데미 설립 종류 - 요가 지도사 자격증 과정 (12) | 2024.09.04 |
국비 지원 학원 설립 - 국비 학원의 종류 [학원편] (PT강사 자격증) (11) | 2024.09.02 |
국비 지원 학원 설립을 위한 '통합 심사' 개념 알기 (2) | 2024.08.31 |